Skip to content
조회 수 3011 추천 수 0 댓글 1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
?

단축키

Prev이전 문서

Next다음 문서

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

박사님 ! 안녕하세요?

 

콘도미니엄 부지내 산림, 조경관리 담당자입니다.

부지내 산림의 참나무가 붉게 말라죽는 참나무 시들음병에 걸려

상당한 나무가 말라죽고 있습니다.

알아보니 나무를 베어 토막을 내어서 쌓아 비닐을 덮고 훈증처리해야 한답니다.

또 죽은 나무는 유인목으로 써야한다고 하는데, 어떻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.

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.

 

 

 

?
  • ?
    김호준 2012.08.25 06:17

    참나무시들음병은 광릉긴나무좀(우리나라 광릉에서 최초 발견, 학게에 등록되어 붙여진 이름)이 매개하고 먹이로 하는 일종의 곰팡이(서양에서는 이 곰팡이를 신선이 먹는 불로초라고도 함.)에 의하여 물이 올라가는 도관(뿌리에서 잎에까지 이르는 일종의 물기둥)을 막아 나무가 시들어죽는 병입니다. 그러므로 무엇보다 매개충 광릉긴나무좀 방제가 우선입니다.
    매개충 광릉긴나무좀은 주로 직경 20~30cm 이상의 대형목을 선호하는데, 그것도 신갈나무를 가장 좋아합니다. 또 지상에서 2~3m 높이까지의 줄기와 굵은가지를 선호하는데, 일정하지는 않습니다.

    예방법은 여러가지나 현재는 주로 끈끈이비닐 트랩을 줄기에 감아 날아온 광릉긴나무좀이 붙어 죽게하는 방법입니다. 일종의 파리잡기용, 쥐잡기용 끈근이와 같은 원리입니다. 그런데 이 방법은 날아오는 모든 곤충이 붙어서 죽는다는 것이 문제입니다. 너무 강력해서 새들도 날아와 붙어죽는다고도 합니다. 참 ...

    그 다음 예방법은 시들음병으로 죽은 나무의 아래쪽은 잘라서 훈증처리하고, 윗부분은 매개목, 즉 유인목으로 쓴다는데, 이것은 좀 무리가 있습니다.
    사실, 광릉긴나무좀 입장에서 생각해보면, 살아서 직립해있는 나무도 위쪽을 먹이 나무로 선택하지 않았는데, 잘라서 지상에 세워놓은, 그것도 먹이로서는 신선하지도 않는 부위를 광릉긴나무좀이 먹고 알을 낳고 새끼를 기를까요? 효과가 낮아 비 경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.
    또 분쇄, 파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만 일단 반출하거나 파쇄기를 들여와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.
    그래서 훈증처리하여 방제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비록 인력과 비용적 측면에서 어려움이 많지만 ...

    그런데, 이 모든 방법들은 5~6월 광릉긴나무좀 주 활동기 이전인 4월까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입니다.


List of Articles
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
36 오래된 벚나무들이 수피가 벗겨지고 죽어갑니다. 2 file 수목배움이 2023.03.02 94
35 왕벚나무 관리법 좀 - 2007-05-27. 1 치악산 돌쇠 2010.04.07 4558
34 왕벚나무를 심었는데요.- 2007-04-01 1 ? 2010.04.07 5058
33 이 나무 이름이 궁금합니다 1 씨앗 2020.10.22 58
32 이게 무슨 충 입니까? 1 file 황부섭 2015.07.07 341
31 이팝나무 문의. 2008-05-24. 1 류호근 2010.04.07 4488
30 인터불고cc 내 오리나무 잎벌레 피해를 입었습니다. 1 file 박한주임 2021.08.04 131
29 장미 4 file 테크 2017.06.18 117
28 장미가 잔디는 미치는 영향... 문의 드립니다. 2009-02-20 1 오정석 2010.04.07 5442
27 제초제약해피해인지..문의 드립니다. - 05.3.29. 1 김연화 2010.04.07 4948
26 중국단풍나무가 낙엽됩니다. 1 file 청도 2018.05.16 216
25 진달래와 철쭉 구분 - 2004-12-06 1 ?? 2010.04.07 4958
24 참나무 1 file 일본 아리지 2015.04.15 437
23 참나무 고사지 증가와 하엽현상. 2008-08-18 1 . 이재훈 2010.04.07 4659
»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는? 1 수유리 2012.08.25 3011
21 참나무에 해충, 궁금합니다. 1 file 솔모로 2012.06.04 4404
20 처음 질문드립니다 1 file 김호준 2024.06.11 9
19 철쭉 1 file 뉴코리아 2021.05.18 90
18 철쭉 분재에 대한 진단좀 내려 주세요...!!. 2007-09-11 1 임창혁 2010.04.07 4399
17 철쭉, 무슨 피해인가요? 1 file 서라벌 2019.07.13 238
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Next
/ 7

(C) 그린과학기술원. 조경 디자인 / 수목관리 기술 컨설팅.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동편로 135 동편마을 406동 801호. 전화: 070-8755-3266 휴대전화: 010-8733-7516 팩스: 031-341-7517

Powered by Xpress Engine / Designed by Sketchbook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sketchbook5, 스케치북5

나눔글꼴 설치 안내


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.

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
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.

설치 취소